유튜브를 시작해보았다 수익창출 기준 달성

유튜버로서 수익창출이 가능하게 되는 기준은 1000구독자 + 4000시간 재생시간이다. 뭐 꽤나 쉽지 않은 조건이다. 근데 어차피 또 저정도는 되야 한달에 몇십만원이라도 간신히 벌 수 있게 되니까

bestprice.tistory.com

사실 위 링크글에서처럼 작년에 대략 100만뷰 영상이면 1만 구독자는 늘어날 것 같다고 예상한 바가 있는데,

그 이후에 작년에 이미 100만뷰 영상을 달성했고, 해당 영상을 통해서는 생각보다 적은 3600명 정도의 구독자만 늘어났다.

초반에는 1%에 가까운 비율로 늘어났지만, 아마도 나중에는 유튜브가 구독 안할 사람들에게 추천을 많이 해서 그렇게 된 것 같기도 하고 뭐 그래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

 

유튜브를 나는 본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가볍게 일주일에 한시간~ 최대 10시간 이하로만 시간을 투자하고 있으니,

적당히 괜찮은 취미 생활 같은 느낌도 든다. 편집은 최대한 자제하고 찍은 영상 그대로 송출하는 것 위주다 보니 제목쓰고 썸네일에 글자 적는 것 외에 크게 시간이 들지는 않는 것도 같다.

나름 요령도 생겨서 조회수를 좀 더 잘나오게 하거나 뭐 그런 포인트를 알게된 부분도 있지만, 사생활 노출도 안하고 엄청 공들이지도 않으면서 100만뷰 영상도 소뒷걸음질로 얻어내고 이래저래 시청자와 소통도 하게되니 재미가 있을 때도 있다.

 

영상 조회수가 늘어나니 카피해서 썸네일만 교체해서 자기 영상으로 업로드 하는 잡놈들이 나오긴 하는데, 유튜브의 뛰어난 기술력은 이런걸 바로바로 잡아줘서 편하게 신고하고 삭제하게 만들수 있어 좋다. 한발 더 나아가서 소송대리까지 해서 저작권 침해 합의금까지 받아주면 더 좋겠지만, 글로벌 범죄자를 단죄하기는 쉽지 않다. 뭐 사실 삭제만 해줘도 충분하다. 

유튜버로서 수익창출이 가능하게 되는 기준은 1000구독자 + 4000시간 재생시간이다.

뭐 꽤나 쉽지 않은 조건이다.

근데 어차피 또 저정도는 되야 한달에 몇십만원이라도 간신히 벌 수 있게 되니까

꽤나 합리적인 조건이기도 하다.

달성하기 직전에 한장 찍어 보았다.

 

그리고 달성 순간도 찍어 보았다.

 

유튜버로서 새로운 수익원을 만들어 내는 것이 쉽지는 않다.

나 같은 경우는 올해 초부터 조금 진지하게(?) 접근 했고, 조회수 100의 벽, 1000의 벽을 넘지 못하다가

조금씩 요령을 알게 되고, 조회수 5,000짜리 그리고 조회수 10만이 넘는 콘텐츠를 만들게 되면서 

이제는 거의 하루에도 구독자가 500명 이상 늘어나기도 하는 일이 벌어졌다.

 

사실 0에서 구독자 1000명 만드는게 구독자 10만에서 20만 만드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생각한다.

어떤 유명 채널들을 보면

첫 영상에서부터 10만 구독자까지 10개월이 걸렸는데 20만까지는 2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10만구독자가 되면 verified user라는 딱지도 붙어서 쉽게 노출도 되고, 인지도도 생기고 기존 구독자가 있으니

검색어로 어그로를 끌지 않아도 콘텐츠만 좋으면 알아서 추가 구독자가 붙는다.

하지만 구독자 0인 채널은 누가봐도 딱 허접채널로 보이기 때문에 굳이 구독할 가치를 못느끼게 된다.

나 같은 경우는 대략 조회수의 1%정도가 구독버튼을 누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100만뷰 짜리 콘텐츠를 하나 만들어내면 1만 구독자 정도가 확보될 것이다. 

아니면 1만짜리 100개를 생산해야 할 건데... 어떤게 조회수가 터질지 처음에는 감이 떨어지니

다양하게 해보는게 좋은것 같다. 그리고 구독자는 일정한 범위 내의 주제에 관련된 영상을 원하기 때문에

이것도 했다가 저것도 했다가 하는식은 위험하고 한분야를 꾸준히 파는게 좋다.

물론 셀럽 같으면 그 사람이 궁금한거니까 뭘해도 상관없지만, 듣보 유튜버는 내용때문에 보는거지 그 크리에이터 때문에 보는게 아니기 때문에 일관된 취향의 구독자를 위한 영상만을 올려야 한다.

나도 조금 벗어날 수도 있는 애매한 주제의 콘텐츠를 올렸더니 늘어난 구독자보다 취소한 구독자가 조금 더 많기도 했다.

 

요령을 조금씩 터득해가고 있기 때문에 아마도 올해 말까지는 3만구독자 정도는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 같고, 내년중에는 실버버튼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본다.

현재 상태를 대충 보니

최근 48시간동안 132,574 조회수가 있고, 구독자는 대략 700명 정도 늘어났는데

CPM 3원정도 계산하면 하루에 15만원이상은 수익이 나고, 구독자도 한달에 만명씩은 늘어나는 계산이기 때문에

꽤나 괜찮은 상태인데 뭐 지금 상태가 항상 유지되는 건 아닐것이고.. 

또 근데 구독자가 쌓일 수록 기본 조회수는 또 올라갈테니 충분히 해볼만한 게임인 것 같다.

 

아마 얕은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이 더 집에서 인터넷을 많이 하고 유튜브도 많이보고,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콘텐츠를 보면서 보내기 때문에

그만큼 더 광고에 많이 노출될 것이고,

조회수에 따라 돈을 버는 유튜버 같은 광고수입원을 둔 사람들이 더 돈을 많이 벌것이라고 생각할 것 같다.

그 말은 대체로 틀렸다.

왜냐하면, 광고비는 구글이 무한정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광고주회사의 예산만큼 광고가 집행되기 때문에 전체 1억뷰였던 것이 2억뷰가 되었다면

광고단가는 절반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 사람들이 2배 더 많이 보는 콘텐츠를 제작했는데 광고단가가 절반이 되었다면

수익은 그대로인 것이고,

사람들이 보는 숫자는 그대로인데, 광고단가가 절반이 되었다면 수익은 절반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향은 거의 모든 유튜브 영상, 블로그, 웹사이트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국가별로도 큰 차이가 보여지고 있다.

그런 국가별 동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면, 광고주들의 광고지출 감소 또는 사람들의 인터넷 활용시간 증가를

약간 예측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이런 블로그로는 한달에 배달음식 몇번 시켜먹을 정도밖에 돈이 나오지 않지만, 여러가지 다양한 글로벌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전세계 여러나라로부터 광고 수입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밝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밝히지 않겠지만, 그래도 우리나라는 광고단가가 많이 떨어지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어떤 나라들은 정말 많이 광고 단가가 내려갔다.

구글 CPC는 철저하게 bidding으로 광고단가가 결정되기 때문에 광고주들이 능동적으로 bidding단가를 낮추지 않는다면 일단 예산이 소진되지 않는 시기에는 CPC가 유지될 거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은 대부분의 키워드 등에 대한 bidding 최고 단가는 많이 내려갔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물론 운영하는 블로그나 웹사이트가 특정 카테고리에 편중되어 있다면, 나오는 광고들도 대체로 관련분야일 것이고, 그 분야 키워드의 bidding단가가 내려가지 않았단면 CPC는 그럭저럭 유지가 되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국가의 여러분야의 콘텐츠를 여러언어로 다루고 있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내가 봤을 때는 전체적으로 많이 내려갔다.

그러다보니 구글이 새롭게 광고 승인을 받으려고 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승인도 좀 기준이 깐깐해진 것 같다. 충분히 광고를 붙여도 될만한 웹사이트임에도 컨텐츠 부족으로 거절나는 상황도 많이 보인다.

블로그 같은 경우 적당한 수준의 글을 10개만 작성했어도 통과가 되었으나 지금은 그정도 수준이면 바로 거절이 나는 듯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