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드라마 3화의 가장 핵심적인 씬은 바로요기..

'내가... 과묵한 훈남 컨셉이라...'

 

뭐 그렇다. 역시 명랑만화 로맨틱코미디 장인스러운 전개다.

 

 

그리고 '스타트업' 이란걸 꽤나 멋있게 비유한 씬.

 

1~16층까지, 1층과 17~32층까지 가는 엘리베이터가 있을때

10층에서 32층을 가기 위해선 1층으로 다시 내려가서 고층부 엘레베이터를 타야한다.

자기가 가진걸 내려놓고 1층에서 출발하는 것 그게 스타트업이기도 하다.

 

 

 

한지평의 집이기도 하면서, 서달미가 삼산텍의 사무실로 알고있는 곳의 위치는

그러니까 촬영장소는

여의도에 있는 콘래드서울의 펜트하우스 객실이다.

아마 이건 알려진 정보는 아닐거 같다.

난 그냥 몇번 가본 호텔이라 인테리어 컨셉과 조명스타일, 그리고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으로 한번에 알아낼 수 있었다.

세트를 만들려고 인테리어를 뭐 바꿀 필요도 없이 그대로 활용하면 되니 편한거 같다.

물론 PPL인 SMEG? 냉장고와 뭐 회의 테이블의 의자나 일부 바꾼것이 보이긴 하는데 어쨌든 소파나 쿠션이나 카페트나

다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근데 마지막 엔딩크레딧에 장소협찬 콘래드서울은 안보였는데... 뭐 있었는데 내가 못봤을 수도 있다.

 

원인재 회사 이사회 회의가 열린 것으로 그려진 장소도

같은 콘래드 호텔이다.

컨퍼런스룸이 있는 곳이다. 완벽히 동일한 위치는 아니지만, 조명이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1화인가 2화에서 나온 원인재와 엄마의 호텔 티라운지 촬영은

남대문 코트야드바이메리어트 호텔이라고 한다.

 

 

4화에는 샌드박스 12기? 선발 비슷한 장면이 그려지고 있다.

샌드박스가 엑셀러레이터와 비슷한 걸 말하는가 했는데

또 이상하게 해커톤과 짬뽕이 되어있다.

 

해커톤 행사는 창업팀이... 참여하지는 않고 보통 개인이 참여한다.

개인이 참여해서 각자 아이디어를 짧게 발표하고, 일종의 인기투표를 통해서 실제 실행할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그 팀에 지원해서 각자 역할을 맡고, 무박2일 또는 무박3일 정도의 스케쥴로 진행이 된다.

그리고 행사는 발표와 시상으로 끝나고 다 집에 간다.

 

그런데 이 샌드박스 12기라는 것은... 1차는 서류...

2차는 해커톤?을 하는데...

여기에서 최종 5팀을 선발해서 샌드박스의 입주기업이 된다?

 

이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컨셉이다.

일단 입주기업을 하고 뭐 일부 비용지원을 한다면 그건 엑셀러레이터가 하는 영역이다.

그러니까 샌드박스는 현재 나온것 기준으로는 엑셀러레이터라고 봐야하는데

중간에 선발과정으로 해커톤을 끼워넣었다.

그런데 해커톤은 또 개인자격으로 현장에서 즉석 팀구성을 하는 것이고 기존 아이디어라기보다는

현장에서 뭔가를 만들어내는 것에 가까운데

엑셀러레이터는 최소한 어느정도 이상의 시제품을 구현한 실제 창업팀이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 두가지를 섞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능하게 하려고 했으면 해커톤행사가 이미 구성된 팀으로만 참여하고

뭐 아이디어만 즉석으로 한다든지 해야되는데

일반 해커톤행사의 컨셉까지 끼워넣다보니 약간 어거지 컨셉이 된 것 같다.

이 모든것을 다 알고 있는 상황에서도 억지로 서달미를 삼산텍에 끼워넣어야 했기때문에 차용한 컨셉인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엑셀러레이터는 선발과정에 해커톤 같은 것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서류심사, 발표심사로 선발되는 식이고 보통 6개월 정도 보육을 한 후에 데모데이라는 공개행사로 성과를 발표하고

가능성이 있는 성공적인 팀에게 VC 투자 라운드로 넘어가든지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4화에서 가장 어색한 장면이라면...

 

초기 기술만 있고 창업자 3명만 모인, 펀딩 진행도 전혀 안된 회사가

전문경영인을 영입한다...... 말도 안되는 소리다.

 

전문경영인은 굉장히 규모를 키운 후에 필요한 것이고, 스타트업 초기 단계인

시리즈 A,B 정도에서 전문경영인 어쩌구 하는 것은 얼토당토 않는 소리이다.

물론 공동창업자들 중에서 적당히 역할을 바꿔서 맡는다든지 하는 경우는 있을 수 있지만,

갑자기 월급을 줘야하는 외부 경영인을 영입한다...

이건 사실 회사를 초기에 매각해서 몇년간 직원으로 일하는 경우에나 일부 성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도 작가가 알면서 서달미를 영입해야하니까 우겨넣은 것인지

이런저런 스타트업 관련 용어와 기존 무슨 상식 같은 것과 다 짬뽕해서 저렇게 된건지 모르겠다.

하지만 드라마 스타트업의 리얼리티 측면에서 아쉬운 장면인건 틀림없다.

 

또 하나의 옥의티...

이 샌드박스 대표라는 사람의 강경화 코스프레...

뭘까 이 설정은...

뭐 K-드라마가... 어쩔 수 없긴 한데

드라마 스타트업 2화

 

그래도 1화보다는 2화에서 나온 VC장면은 그래도 조금 현실성이 조금 더 있었다.

 

근데 VC사무실은 저렇게 저렇게 일반 회사 사무실처럼 생기긴 어렵다.

스탭이 

저렇게 여직원 비율이 높을 수도 없고, 보통 VC팀장이라는 사람은...

자기 밑에 팀원도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있어봤자 쥬니어 한명이나 인턴 한명 있을까 말까가 더 자연스러울것 같다.

작은 규모의 VC는 말단 심사역의 대외적 직함이 팀장인 경우도 흔하다.

드라마의 자문을 대체로 VC나 투자사이드에서 한 것으로 보이는 디테일 들은 조금 보이는데..

 

 

또 창업팀이...

이런.. 미국 스타일 garage 같은 곳에서 저렇게 차려놓고 일하는 경우는 굉장히 찾기 어려울텐데...

그래도 프로그래머들이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 ㅋㅋ 체크남방 스타일링은 그래도 잘 한것 같다.

뭐 워낙 배우들이 비쥬얼이 좋아서 찐따미는 느껴지지 않지만 그래도 뭐 그런부분은 신경쓴것 같다.

 

그리고 스타트업 2화의 하이라이트이기도 한 테트워킹파티 장면...

실제 스타트업 행사 같은것과 좀 너무 동떨어지게 무슨 헐리우드 사교파티처럼 잘 차려입고 와서...

저러고 있는데... 실제로는 저렇게 빼입고 오는 사람들은 극소수다.

너무 연미복 스러운 차림이 많아서 황당했다.

사실 서울대에 유명한 레전설이 있는데....

이재용이 입학후 첫 개강파티에....

이름이 파티니까 진짜 무슨 파티인줄 알고...

연미복을 입고왔다는... 꽤나 오래된 전설이 있다.

아마 극작가도 그런 관점에서 생각한게 아닌가 싶다.

 

스타트업 네트워킹 파티는 대체로

구글에서 대충 검색한 이미지

이런 느낌에 가깝고

조금 돈 들인 행사라고 해봐야

이런 칙칙한 느낌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런식으로 스타트업계에 쓰이는 용어들을 소개하는 장면은 재미있었다.

드라마 스타트업 2화 리뷰(?) 끝

 

2020/10/18 - [오피니언/연예와 신변잡기] - 드라마 스타트업을 보다가... 충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