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전쟁 이후 계속 성장해오는 국가였고
1990년도의 최저시급은 700원정도
2000년도의 최저시급은 2천원정도
2010년에 4천원
2020년에 8~9천원
거의 10년마다 2배씩 최저임금이 올라갔고
상용근로자 월평균임금을 봐도
1990년에 대기업 150만원?, 중소기업 130만원
2000년에 대기업 215만원, 중소기업 153만원
2010년에 대기업 429만원, 중소기업 270만원
2020년에 대기업 535만원, 중소기업 314만원
(이 자료는 조금... 통계기준이 오락가락해서 명확하지는 않음)
GDP같은거 안따지고 소득기준으로 봤을 때 이렇게 급성장을 거듭해오고 있는데
추세대로면 2030년에 대기업 700만원, 중소기업 400만원... 근처는 되어야 하는데
이런 시대는 원화가치가 엄청나게 떨어지지 않고는 쉽게 오지 않을 것 같다.
유력한 숫자는 2030년 대기업 590만원, 중소기업 350만원 정도가 아닐까...
일본의 경우 1990년대에도 근로자 연소득 400만엔근처이고, 지금도 400만엔조금 넘는 수준으로 달러 환율로 보정하면 아주 조금 상승했다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엔화기준으로만 보면 오히려 소득이 정체되었거나 더 내려온 수준.
물론 버블이 심했으니 뭐 그렇다고 하더라도 어느정도 성장이 둔화된 사회라면
당연히 물가상승률도 0%대로 가는거라고 봄. 한국도 최근 5년봐도 평균 1%조금 안될듯.
또 같이 봐야할 것이
Rent-to-Income Ratio 인데...
소득에서 지출하는 월세비용이다.
극단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40%면 매우높고, 30%가 홍콩, 도쿄,서울 수준의 적절(?)한 수준이다.
물론 최근에는 월세값 상승대비 매매가 상승이 가파랐기 때문에 서울의 Rent-to-Income Ratio는 25%아래일 것 같기도 하다.
소득금액의 정체는 명확해보이고, 경제활동인구도 계속 줄어들것이고 그러면 그만큼 그 월세를 내줄 수요자도 줄어들고
수요자들의 여력도 부동산 상승추세만큼 가기 어렵다. 그래서 공급부족이라도 어떻게든 수요가 같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도 하다.
부동산으로 결론을 낼 일은 아니지만, 이래저래 약간 암담한 미래가 기다리고 있기도 하고 지금 추세만큼 그렇게 또 부동산이 미친 상승을 거듭하기도 어려워 보인다.
'오피니언 > 경제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 소음 (0) | 2021.06.02 |
---|---|
북한 김정은 사과 과연 이게? (0) | 2020.09.25 |
주식 불나방, 여전히 주식판은 도박판? (0) | 2020.09.14 |
문재인 재산 문재인 대통령 재산 신고 내역 (0) | 2020.08.11 |
김조원 재산 김조원 민정수석 재산신고 내역 (0) | 2020.08.11 |
월세, 전세, 자가매입에 대한 인식과 실제 (0) | 2020.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