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미국 증시가 점심시간을 지난 무렵이라 오늘 어떻게 끝날지는 알 수 없지만,

 

SPY 와 QQQ를 비교하면 재미있는 차이가 있다.

SPY는 2.12% 하락, QQQ는 1.11% 하락

SPY의 경우 아주 느리지만 점차 하락세, QQQ는 그래도 시초가 정도를 유지하는 모양세.

 

보통은 나스닥 종목이 더 변동이 큰 경우가 많기 때문에

SPY보다는 QQQ가 더 오를때 많이 오르고 떨어질 때 더 많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아래는 SPY의 최근 시세이다.

등락률이 9월 3일에 -3.44%,   9월 8일에 -2.73% 정도가 제일 큰 등락.

 

아래는 QQQ시세

-5.07%, -4.81% +2.94% 를 금방 찾을 수 있다.

최근 5일간도 모두 -1% 아래거나 +1% 이상 변동했지만,

SPY의 경우 5일중에 3일은 1%이내의 변동만 있었다.

 

그리고 여러 섹터별 ETF를 보더라도

금융 -4%, 에너지 -5.5% 등 대체로 낙폭이 크고

테크관련 XLK 만 -0.54%로 낙폭이 가장 작다.

이것이 QQQ보다 SPY의 낙폭이 더 큰 이유일테고,

최근 몇주간은 비대면 테크주가 주춤하고 나머지 컨택트관련주가 부상하는 트렌드였는데,

오늘 이 상황은 다시 비대면이 떠오르고, 컨택트주가 내려가는 상황인거 같다.

 

코로나 2차유행과도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

미국의 경우는 좀 2차유행도 사실 좀 지난 타이밍이지만,

유럽의 경우

위 영국 그래프처럼 2차유행의 정점을 찍는 상황이다.

 

이런 하락세가 지속된다면 S&P 500 지수를 보고 적당히 감으로 생각해보자면,

이미 2개월 전의 S&P500 지수 상태로 복귀했기 때문에...

더 내려간다면 아마 3,000정도까지는 내려갈 수도 있지 않을까 짐작해본다.

3000이 그렇게 멀지도 않은 것이

8.6%정도만 지금 시점에서 내려가면 금방 3000을 터치하게 된다.

하지만 또 단기적인 그래프 상에서는 내일이나 모레부터 상승전환하기 쉬운 모양새이기도 하다.

그래서 섣불리 짐작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오늘 이런 하락세 중에서도 사뭇 다른 분위기 전환은

어느방향이든 변동성이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포지션을 정하기가 어렵다.

 

QQQ가 더 하락국면이라면 SQQQ의 비중을 5~10%정도 가져간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헷지를 고려해볼 수 있겠지만,

앞으로 S&P500이 당분간 하락세일거라고 생각이 된다면 SQQQ보다 SPXS 같은 ETF를 아주 짧은 기간에 한해

고려해볼 수도 있겠다.

 

오늘 그래서 다시 비대면의 끝판왕(?)

zoom은 +5.20%를 기록중이다.

 

히키코모리를 위한 종목 또한 선전중이다

물론 roku의 경우 신규서비스 론칭등의 호재가 작용해서 그런것이고

zoom의 경우는 대충봤을땐 이렇다할 대형호재는 없는것 같다. 

아마 생각보다 비대면시대가 장기화될 거라는 전망에서 비대면->대면-> 다시 비대면 ㅠㅠ 인 상황이 아닌가 싶다.

한국 주식도 비슷하게 영향을 받는다면

내일부터는 한동안 하락세였던 카카오가... 달릴수도 있겠다 싶다. 

ARK투자사의 ETF가 요즘 주목을 받고 있다.

SPY QQQ 같은 S&P500 이나 나스닥100 인덱스 ETF 들이 전통적으로 인기를 끌어왔지만,

코로나 이후 테슬라 같은 혁신 기업의 주식들이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아서 테슬라 비중이 높은 ETF가 인기가 높아졌다.

ARK사의 ETF는 5종류가 있는데

대표ETF인 ARKK는 아래 Q W G F의 요약본 같은 ETF이다.

편입종목과 비중현황도 굉장히 자주 업데이트 해주고 있어서 투명하게 볼 수 있다.

48위까지만 공개한 이유는 48개 종목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비중을 다 더하면 100%가 된다.

재미있는 것은 FAANG MAGA 종목 중에서 Facebook은 포함되어 있지만

Apple, Amazon, Netflix, Google, Microsoft 는 제외되어 있다.

그러니까 이런 잘나가는 종목들은 이미 혁신이 정점에 달해있다고 본 모양이다.

ARKK의 아름다운 차트.

최근 1년 수익률이 97%에 달한다.

결과적으로 유사하기도 한 아래 ARKW와 비교하면 

ARKK가 코로나 바닥 저점이 더 낮았고, 이후 상승률로 보면 조금 더 높았고,

조금더 장기간으로 보면 ARKW의 수익률이 더 좋다.

ARKW의 1년 수익률은 106%

ARKW의 종목을 보면

그래도 아마존, 넷플릭스, 애플, 페이스북은 포함되어 있다. 

 

어쨌든 테슬라의 하드캐리 때문에 ARK사 ETF의 전체 퍼포먼스가 살짝 과장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닌데...

테슬라를 제외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봐도 사실 최근 3개월의 수익성장률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도 하다.

ARKK같은 ETF를 직접 매매하든 ARK사가 찍어준 종목들 중에서 적당히 골라보든지 해도 좋을 것 같다.

물론 최근 미국장이 다소 많이 오버슈팅 되어있다고 볼 수 있는 부분도 없지 않으니 주의해서 투자는 각자 책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