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다시피 IRP계좌는 위험자산에 대한 70% 한도가 있어서 편입 종목이 제한적이고,

연금저축 계좌는 그보다 조금 낫긴한데 여전히 파생형 상품은 넣을 수 없다.

물론 연금이라는 특성상 차근차근 복리의 마법으로 불려가면 되고 굳이 위험한 게임을 할 필요가 없기도 하다.

 

하지만 ISA계좌는 조금 더 자유도가 높다. ETF / ETN 다 넣을 수 있고 레버리지나 인버스도 가능하다.

손익통산으로 과세하는 장점도 있고, 200만원이나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 그리고 만기금액을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하면서 추가로 300만원까지의 세액공제도 누릴 수 있는 장점 뿐만 아니라,

국내상장 해외ETF 등을 거래할 때 내야하는 15.4%의 배당소득세 같은것도 내지 않기 때문에

이런 장점을 살려서 조금 위험한 게임을 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ISA계좌가 아무래도 서민형은 3년, 비과세 400만원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일반형은 5년 비과세 200만원으로 그렇게 까지 매력적이지 않기도 한 부분도 있는데 어쨌든 손익통산으로 계산해주고 뭐 3년이든 5년이든 여유자금이 맞고 그정도 기다릴 여유가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해볼만 하지 않을까 싶다.

 

해외시장 중에서도 미국시장만 패는 것이 더 좋을 것 같기 때문에 우선 종목들을 살펴보자면,

 

1. TIGER 미국 S&P500레버리지(합성 H) ETF

ETF 종목중에 레버리지 미국주식형은 하나밖에 없는 것 같다.

어차피 가즈아 모드로 할 거면 500만원 정도는 미친척 하고 ISA계좌에 담아볼 수 있을 것 같다.

운용보수는 0.59%로 싸지는 않지만, 오늘 소개할 ETF/ETN 중에서는 저렴한편이다.

 

 

2. KODEX 미국FANG플러스 (H)

총보수 0.45%로 소개할 종목중에서는 제일 착하다.

Twitter, Apple, Baidu, Tesla, Alibaba, Facebook ,Nvidia, Netflix, Google, Amazon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종목으로 담기도 좋은 종목들이지만 ISA계좌의 장점을 살려줄수도 있어보인다.

거래량도 충분히 많다. 그래프도 레버리지 같은것보다 깔끔하고 안정성이 높다.

 

 

3.  TRUE 레버리지 나스닥 100 ETN

레버리지 나스닥 100 환노출형 ETN으로

ETN치고는 거래량은 상당히 많다.

1번으로 소개한 S&P500 레버리지 ETF 아니면 이거 둘중의 하나가 제일 기본인 거 같다.

총보수는 1.18%로 좀 쎄다.

 

 

4. 신한 레버리지 다우존스지수 선물 ETN (H)

다우존스 레버리지 선물 ETN 환노출형이다.

운용보수는 1.05%로 다소 비싼 편이다.

 

 

 

5. 삼성 미국 대형 성장주 ETN  or (H)

레버리지는 아니지만 S&P 500 Pure Grouwth NTR KRW 지수를 추종한다고 한다.

환노출형도 있고 환헷지형도 둘다 있으니 맘에 드는걸로 골라 먹으면 되겠다.

총보수는 환노출형이 0.6%, 환헷지형이 0.7%로 중간쯤이다.

근데 환헷지형이 거래량은 훨씬 높은 것 같다. 사실 둘다 거래량이 낮다. 100주 이상 넣기도 애매해보인다.

거래량이 낮으면 추종지수와 괴리율도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뭐 그래도 2%이상 벌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편입종목을 보면

뭐 이런식이다.

 

ARK투자사의 ETF가 요즘 주목을 받고 있다.

SPY QQQ 같은 S&P500 이나 나스닥100 인덱스 ETF 들이 전통적으로 인기를 끌어왔지만,

코로나 이후 테슬라 같은 혁신 기업의 주식들이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아서 테슬라 비중이 높은 ETF가 인기가 높아졌다.

ARK사의 ETF는 5종류가 있는데

대표ETF인 ARKK는 아래 Q W G F의 요약본 같은 ETF이다.

편입종목과 비중현황도 굉장히 자주 업데이트 해주고 있어서 투명하게 볼 수 있다.

48위까지만 공개한 이유는 48개 종목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비중을 다 더하면 100%가 된다.

재미있는 것은 FAANG MAGA 종목 중에서 Facebook은 포함되어 있지만

Apple, Amazon, Netflix, Google, Microsoft 는 제외되어 있다.

그러니까 이런 잘나가는 종목들은 이미 혁신이 정점에 달해있다고 본 모양이다.

ARKK의 아름다운 차트.

최근 1년 수익률이 97%에 달한다.

결과적으로 유사하기도 한 아래 ARKW와 비교하면 

ARKK가 코로나 바닥 저점이 더 낮았고, 이후 상승률로 보면 조금 더 높았고,

조금더 장기간으로 보면 ARKW의 수익률이 더 좋다.

ARKW의 1년 수익률은 106%

ARKW의 종목을 보면

그래도 아마존, 넷플릭스, 애플, 페이스북은 포함되어 있다. 

 

어쨌든 테슬라의 하드캐리 때문에 ARK사 ETF의 전체 퍼포먼스가 살짝 과장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닌데...

테슬라를 제외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봐도 사실 최근 3개월의 수익성장률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도 하다.

ARKK같은 ETF를 직접 매매하든 ARK사가 찍어준 종목들 중에서 적당히 골라보든지 해도 좋을 것 같다.

물론 최근 미국장이 다소 많이 오버슈팅 되어있다고 볼 수 있는 부분도 없지 않으니 주의해서 투자는 각자 책임.

 

 

연금저축계좌에 편입 가능한 해외주식ETF 중 흔한 몇개를 알아보자.

1. KINDEX 미국S&P500

총보수 0.09%의 환노출 S&P500 ETF로 가장 압도적인 ETF

S&P500종목 중 시가총액에 적절히 비례하여 구성되어 지수 추종을 잘하고, 안정성도 뛰어남.

물론 고위험도의 주식형 펀드중에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의미.

 

2. TIGER 미국나스닥100 또는 ARIRANG미국나스닥기술주

총보수 0.49%로 다소 높지만, 나스닥100은 S&P500보다 대세상승기에 훨씬 더 높은 상승률을 보여줌.

시장이 좋을 타이밍엔 이 종목으로 적절히 갈아타서 보유하는식으로 운용하는 것도 검토해볼만 함.

S&P500에 아직 테슬라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슬라가 포함된 ETF를 원한다면 좋은 선택.

'ARIRANG 미국나스닥기술주' 라는 유사 ETF도 있다.

총보수가 0.49라고 해놓고.. 다시보니 실제로는 기타비용 0.2를 더해야 하고 0.69가 된다.

이에 반해 ARIRANG 미국나스닥기술주의 경우

이렇게 더 싼것처럼 나온다. 이게 사실이라면 ARIRANG 미국나스닥기술주 ETF를 사는 것이 나을수도 있다.  하지만 추종인덱스가 아주 조금 다르고, 거래량도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선택해야 한다.

TIGER미국나스닥100의 경우 나스닥100 인덱스 이지만, ARIRANG 미국나스닥기술주의 경우는 나스닥100 Tech섹터 인덱스이고, 최근 수익률은 TIGER가 총보수를 고려하더라도 더 높다. ARIRANG은 거래량이 매우 적어서 원하는 때에 원하는 만큼 사고 팔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있다.

나스닥100 Technology Sector

3. KODEX 선진국MSCI World

미국주식에 몰빵하는 것도 리스크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선진국 여러나라에 조금 분산하는 ETF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미국주식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총보수는 0.3%로 위 두 ETF의 중간 수준이다. 하지만 KINDEX S&P500에 비하면 3배가 넘는다.

 

환헷지 (H) ETF상품은 연금저축계좌에는 넣지 않는 것이 좋다.

대체로 총보수도 높기도 하고, 해외주식이 떨어질때는 안전자산인 미국달러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환노출 상품이 장기적으로 훨씬 더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세금구조상 국내주식ETF는 연금저축계좌에서 거래할 이유가 없으니 일반계좌에서 거래하면 된다.

 

그 외에 검토해볼만한 환노출 미국주식형 ETF로는

  •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
  • TIGER S&P글로벌헬스케어(합성)

정도가 있을 것 같다. 

장기적으로 봐도 바이오와 헬스케어섹터는 IT쪽과 함께 미래먹거리니까 말이다.

물론 단기적인 관점에서도 뭔가를 찾아볼 수는 있겠지만, 연금저축이라는 성격상 그리고 ETF인 만큼 아무래도 매매를 자주하면서 관리하는 것이 그리 현명한 선택은 아닐 것 같다. 

사실상 최고의 선택은 그냥 연초에 400만원씩 KINDEX 미국S&P500에 몰빵하고 매매 안하기가 아닐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