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리대표로 유명한 메리츠자산운용 국내펀드 뜯어보기 2탄이 포스팅된지 5개월정도 지났기 때문에

현재 메리츠자산운용 국내펀드의 편입종목은 어떻게 바뀌어 있는지를 좀 살펴보기로 했다.

 

코리아증권투자신탁 1호

현재 시점에 본 종목 비중

 

아래 5개월전과 비교하면, 삼성전자우의 비중이 올라갔다. 뭐 그만큼 작년 하반기 성장이 있었으니 자연스레 비중이 올라갔을 건데, 오히려 너무 집중되어 일부 매도했기 때문에 2.4%포인트만 올라간것 같다.

카카오 비중은 축소되었고, LG화학 비중이 조금 늘어났다. 이또한 가격상승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더존비즈온이 10위권 밖으로 내려갔고, 솔브레인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새로 보인다.

작년 8월기준 종목 비중

 

 

더우먼증권투자회사 펀드

현재 시점에 본 종목 비중
작년 8월기준 종목 비중

삼성전자우가 2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그 외엔 한솔케미칼, 한미약품이 새로 보이고,

스튜디오드래곤과 인터로조는 내려갔다.

크게 만진것 같지는 않다. 자연스러운 주가변동만큼만 비중이 변한듯 하다.

 

 

코리아스몰캡증권투자신탁

현재 시점에 본 종목 비중

 

작년 8월기준 종목 비중

한솔케미칼이 쭉쭉 올라워서 1위가 되었다.

티씨케이가 3위로 내려가서 자리바꿈 했다.

지난 8월 새로 진입한 PI첨단소재, SK머티리얼즈, 더블유게임즈 중 더블유게임즈는 아래로 밀리고

NICE평가정보가 새로 들어왔다.

 

 

 

크게 변동이 없으니 이번에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와 한미약품 두종류만 들여다보자.

 

우선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약간 뻔할 수도 있는 한국타이어, 하지만 차트상에서는 충분히 상승여력이 있고, 코로나 저점의 3배가 되는 가격이지만 여전히 매력적으로 보인다.

배당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작년에 약간 주춤했지만 영업이익도 개선되고 있다. 

PBR차트상에서 아직 꽤나 저점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하방에 대한 걱정은 조금 덜한듯 하다.

연간실적과 주가를 잘 맞춰가고 있기 때문에, 펀더멘털에 의한 안정적인 투자를 하기 좋은 종목이다.

사실 주목해야할 부분은 전기차 타이어일 것이다.

타이어가 뭐 그렇게 차이가 있어? 할 수도 있지만, 엔진소음 없으니 노면소음이 중요하고, 저속토크가 강한 전기차의 특성과 연비도 중요한 특성 등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인 부분이 있고, 수출 부분에 있어서도 테슬라에 납품한다든지 어떤 브랜드와 제휴를 계속해나간다든지 부분에서 기존의 내연기관 타이어와 차이가 날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지금 가격이 너무 가파르게 상승한데다가 코스피도 3200을 돌파한 시점에서는  단기적 조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장기관점에서 보면, 1~2년내로 6만원을 돌파하고 67,800원도 돌파하여 신고가를 기록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

즉, 지금 들어간다고 해도 2년내로 50% 상승여력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다음은 한미약품

 

펀더멘털 상으로는 제약주임에도 계속 평이한 수준의 재미없거나 꾸준한 종목이다.

올해실적은 작년보다도 한참 밑도는것 같지만, 최근 시장과 트렌드 영향으로 꽤나 상승했다.

사실 제약쪽은 R&D한참하면서 비용만 늘리다가 어느순간 계단식으로 점프하게 마련이기 때문에

오랜 횡보(?)기간은 앞으로의 급상승 또는 그 반대를 예상하게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일단 신약개발에 대한 소식이 있다.

최근 모더나백신의 위탁생산에 대한 뉴스도 있었다.

당장은 R&D비용 반영등으로 수치적인 펀더멘털에서는 재미가 없어보이지만,

실제 돌아가는 상황을 더 공부하면 충분히 매력적인 부분이 숨어있을 것 같다.

 

사실 요즘은 웬만한 종목은 다 상승과 급등을 거듭해서, 옥석가리기가 쉽지 않고

자기가 고른 종목이 잘 올라도 다른 종목이 너무 잘 올라서 김새버리는 일도 많은 것 같다.

그리고 이미 너무 가격이 비싼 주식도 많아서, 하방압력을 견뎌내는 문제도 커서 섣불리 진입이 어려운 부분도 있다.

그런 때일수록 더 많이 오를 주식보다는 덜 떨어질 주식을 고르는 지혜도 필요할 것 같다.

 

 

문재인 대통령이 소부장 펀드의 수익금을 환매하고,

뉴딜펀드 5종에 천만원씩 투자한다고 한다.

▲삼성뉴딜코리아펀드

▲KB코리아뉴딜펀드

▲신한BNPP아름다운SRI그린뉴딜펀드

▲미래에셋 타이거 BBIG K-뉴딜 ETF

▲하나로FNK뉴딜디지털플러스ETF

 

각각에 대해 알아보자.

▲삼성뉴딜코리아펀드

 

약간 재밌는 구성의 펀드다.

 

▲KB코리아뉴딜펀드

 

▲신한BNPP아름다운SRI그린뉴딜펀드

삼성전자 21.74%라니 별로 재미가 없다.

 

▲미래에셋 TIGER BBIG K-뉴딜 ETF

 

▲하나로FNK뉴딜디지털플러스ETF

 

 

문재인 펀드의 수혜를 받으려면, 중소형주인데 펀드에 구성비중이 높은 종목이어야 할 것이므로,

1. 다나와

2. 웹케시

3. 씨에스윈드

4. 천보

5. 펄어비스

정도로 보여지지만, 글쎄 오히려 그 외의 뻔한 종목이 더 나을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10시30분 장 개장이 몇분 남지 않았지만, 개장전에 포스팅해야 뒷북이 아니기 때문에 간단히 씀.

 

사실 나스닥 테크주는 대체로 다 9월초 고점대비 많이 빠졌지만, 여전히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는 종목별로 차이가 있음

구글의 경우 9월2일 고점대비 18%정도 하락한 상태

그리고 코로나 직전의 고점대비도 7%가까이 하락한 상태

연초의 가격에서 3%만 오른 상태이니 지금 사면 연초에 사서 홀딩한 것과 같은(?) 결과가 된다.

대표적인 저평가 테크주.

 

아마존도 9월2일 고점대비 15%하락한 상태

 하지만 코로나 직전 고점대비는 38%가량 상승한 상태로 지금이 저평가라고 하기는 애매하고 적정밸류정도

 

페이스북 역시 9월2일 고점대비 18% 하락

코로나 직전 고점 또는 연초 대비 14~18% 정도 상승한 상태로

실제 실적에 비해서는 약간 저평가 상태라고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소프트를 보면

코로나 직전 대비 7%정도밖에 오르지 않은 상태로 꽤나 좋은 가격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실제 펀더멘털 분석 등이 더 필요하겠지만 코로나 비대면 수혜가 가장 컸던 아마존과 비교해 다른 메가 주식들은

어쩌면 다시 터치하기 쉽지 않은 선까지 내려왔다고 볼 수도 있다.

물론 요즘 변동세로는 추가 10% 폭락을 해도 이상하지 않으니 예의 주시하면서

더 떨어지면 주저없이 주워담아도 될 거 같고, 지금가격도 장기로는 괜찮지만 단기적으로는 지수 하락세로 돌아설 수도 있으니 섣불리 몰빵 하는 것은 위험하다고도 볼 수 있다.

 

 

존리대표로 유명한 메리츠자산운용 국내펀드 뜯어보기 1탄이 포스팅된지 조금 지났기 때문에

현재 메리츠자산운용 국내펀드의 편입종목은 어떻게 바뀌어 있는지를 좀 살펴보기로 했다.

4월말에 본 코리아증권투자신탁1호

 

4개월이 지난 현시점에 다시 확인한 비중

 

삼성전자 비중이 줄고 카카오가 늘었다.

SK머티리얼즈가 3위로 올라왔고, 휠라홀딩스는 4위로 내려갔다.

솔브레인이 없어졌고, LG화학이 7위로 들어왔다.

솔브레인은 최근 솔브레인홀딩스와 솔브레인으로 사업영역에 따라 분할을 하였고 일시적으로 가격이 폭등했었기 때문에 일단 고가에 한번 정리하는 것이 나은 선택일 수도 있겠다. 아니면 분할 때문에 비중이 1%대로 둘다 줄어서 안보이게 됐을 가능성도 크다.

4월말에 확인한 더우먼증권투자회사 펀드 
8월말 현시점에 확인한 더우먼증권투자회사 펀드

SK하이닉스가 한단계 내려라고 삼성SDI와 CJ대한통운이 새로 10위권 내로 들어왔다. 

신세계인터내셔날과 이노션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4월말의 스몰캡증권투자신탁 펀드 편입종목

 

8월말의 스몰캡증권투자신탁 편입종목

리노공업과 티씨케이가 뒤집혔고,

한솔케미칼이 3위로 부상했다.

카카오는 8위로 내려갔고, 

PI첨단소재, SK머티리얼즈, 더블유게임즈가 새롭게 10위권내로 들어왔다.

 

 

PI첨단소재와 더블유게임즈 두종목에 대해서만 간단히 살펴보겠다.

 

우선 PI첨단소재.

차트상 꽤나 저점인 종목이다.

기업의 매출과 이익은 꾸준하고, 주가가 내려와서 PER이 내려와있는데 가치투자로서는 좋은 주식으로 보인다.

회사명을 바꾸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채용도 늘려왔다.

밴드차트 상에서도 그럭저럭 고평가는 아닌것으로 보이는 지점이다.

외국인 지분률은 8%대로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정도 수준.

홈페이지에선 대표이름도 찾기 어려웠지만 몇달전 기사에서는 대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다음. 더블유게임즈

게임개발사.. 근데 카지노라니... 약간 쎄하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대표 얼굴이나 인사말을 찾을 수 없었다.

 

비대면이 워낙 각광받는 시기이니만큼 코로나 최저점대비 2배이상 오른 가격이다. 뭐 게임회사라면 대충 다 이근처 아닐지..

 

고용규모는 계속 꾸준히 늘고있다. 급여수준도 나쁘지 않은편.

파라다이스 GKL등의 오프라인 카지노가 맥을 못추는 상황이니 카지노게임이 그 대체재가 될 수 있는지 어쩐지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뭐...카지노에 집중하는 것 같다.

찾아보니 음.. 역시 카지노중심이 맞다.

역시 게임회사는 돈을 쓸어담긴 한다. 5100억 매출에 1500억이라니... 거기다가 게임회사인데 PER이 10 아래였고..

지금시점 기준으로는 대략 PER 12가 넘는다.

펀더멘탈 기준으로는 매우 좋은 회사가 맞긴 하다. 카지노게임을 하는 회사라는 점이 조금 걸릴뿐.

그럼 5100억중 3600억은 어디에 쓰는건지가 궁금해졌다.

매출액이 5100이고 매출이익도 5100억.. 뭐 이건 게임이니 원가가 없는게 맞긴하다.

판매관리비로 3600억이 그대로 찍혀있다. 그중 급여는 10%도 안되는 337억원

지급수수료 1786억원, 무형자산상각비 387억원, 연구개발비 166억원, 광고선전비 677억원

임차료 1.4억원.

예상외로 마케팅쪽은 그렇게까지 높지 않고, 지급수수료 부분이 굉장히 높은데

이부분이 궁금해져서 더 들여다 봤다.

에이... 너무 당연한거였다. 구글 애플 앱스토어가 30%를 가져가니... 5100억의 30%면 1530억원...

역시 구글 애플이 적폐인가봉가 아니.. 구글 애플 주식을 더 사야되나..

배당이나 더 넉넉히 주면 좋을 것 같지만 1%도 주지 않는다. 흠..

 

주식도 대부분 오너일가가 들고 있는 것 같은데도 배당을 별로 안한다... 

 

2020/05/04 - [재테크 정보/주식 증권 정보] - 메리츠자산운용 국내펀드 뜯어보기 1탄 - 종목 추천

 

메리츠자산운용 국내펀드 뜯어보기 - 종목 추천

존리대표 때문에 더욱 유명한 메리츠자산운용의 펀드를 뜯어보기로 했다. 유튜브에서 장기투자와 연금펀드 등 좋은 말씀을 많이 해주고 계시지만, 약간의 흥미와 자극적인 부분을 원하는 유튜�

bestprice.tistory.com

IT 인터넷 관련 업체를 몇개 알아보기로 했다.

1. Square Inc. (SQ)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주가 차트를 보여주는 Square. 코로나가 떠먹여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성장에 비해 최근 3년 주가는 비실댔는데. 코로나로 물들어올때 노젓는 중. 

테슬라처럼 너무 많이 올라버렸다는게 제일 단점.

130정도로만 내려와도 손이 나갈 수 있겠지만 지금가격엔 글쎄... ETF로 간접적으로 보유하는게 안전해보인다.

2. Roku Inc. (ROKU)

8월 내내 횡보하다가 며칠전부터 지붕 뚫어버린 로쿠. 스트리밍 플랫폼. 셋톱박스 판매에서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진화해서 잘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지금 들어가긴 너무 비싼가격같기도.

 

성장속도는 괜찮아 보인다.

 

 

3. 2U Inc. (TWOU)

비대면 타이밍을 제대로 탄 2U. 온라인 학위프로그램. 2018년에 100달러 근처까지도 갔다가 지금은 40달러대..

독점적 기술은 아무래도 부족한 업종일테고, 그래서 경쟁업체도 좀 많은듯 하긴 하다.

2019년에 채용도 갑자기 늘렸고, 성장도 많이 했다. 

ARK가 20%나 들고 있다. 이건 뭐..장점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어느정도껏 주가 방어는 해주지 않을까 싶은..

 

 


4. Zillow Group Inc. (Z)

호갱노노 같은 부동산 정보 플랫폼. 상장이후 어쨌든 최고가를 경신하는 중. 에어비앤비는 여행업 특성을 타지만, 이런 매매 임대 플랫폼은 경기도 잘 안탈것 같다.

 

 

 

 

 

2분기 매출감소는 코로나 영향이 있는듯 하다. 그래도 손실을 많이 줄인걸 보니 마케팅을 줄여서 매출이 줄은 것도 같다.

채용도 꾸준히 늘리고 있고, 성장률은 20%대로 내려와있지만 그래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5. Slack Technologies Inc. (WORK)

슬랙은 한국에서도 많이 쓰는 그룹웨어 플랫폼. 매출은 늘고 있고 50%이상 연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버는돈에 비해 쓰는 돈이 훨씬 많은 수준. 

최근에는 노션이라는 경쟁서비스도 나와서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슬랙의 위치가 조금 흔들릴 수도 있겠다.

일단 직원수도 매출이 늘어난 만큼 늘어나고 있고, 세계 각지에 오피스를 두고 영업을 열심히 하고 있는 듯 한데

그래서 더 비용이 많이 드는것 같기도 하다.

서비스 그 자체는 훌륭한데... 기업이 얼마나 돈을 내고 쓸지가 문제.. 드랍박스처럼 장기간 맥을 못추는 주식이 될 가능성도 있다.

아마 흑자전환보다는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 같은데 인수되길 원하지 않을까.

상장당시 37달러선에서 코로나때 20달러도 깨졌다가 지금은 30달러회복.

 

 

 

 

미국주식 좋은 주식은 많은데... 싼 주식은 잘 없다..

1달전만해도 싼주식이 많았지만 총알이 없다.

 

2019년 10월 25일 신고내역

 

아파트 2채 (강남, 잠실) 합계 17.7억원 

하지만 현시세기준

도곡한신84m² 17억원 (대출 1억원)

잠실 갤러리아팰리스 18억원 

합 35억원

자동차 7년된 제네시스 하나

예금 10억원

주식보유 3억원 (현시세로는 2억원)

총합 (자동차제외) = 46억원

그런데 저 아파트 둘중 하나를 팔면 세금으로 최소 7억원가량이 나가고

본인 자산규모가 46억원에서 39억원으로 쪼그라들게 됨.

그리고 실거주 1채는 부동산 가격이 올라도 득될게 없는 포지션...

어차피 현금 10억원이나 들고 있는 사람이 아파트 세금 오르는게 무서울리도 없고 당연히 아파트를 내놓기는 어려움.

현금을 일반 통장에 그냥 들고 있으니 뭐든 투자자산을 사야되는 상황에 가까운데 반대로 행동이 가능할리가...

 

문재인 대통령 재산도 알아보려면 아래 포스트 클릭

2020/08/11 - [오피니언/경제와 사회] - 문재인 재산 문재인 대통령 재산 신고 내역

+ Recent posts